DI(Dependency Injection)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닌, 외부(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생성한 후 주입 시켜주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DI(의존성 주입)를 통해 객체 간의 결합도/의존성이 줄어들고 유연성이 높아집니다.
반응형
'개발자 기술 면접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3가지 방법 (2) | 2023.12.28 |
---|---|
[Spring]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 Servlet)이란? (0) | 2023.12.27 |
[Spring] IoC(Inversion of Control)란? (2) | 2023.12.27 |
[Spring] Spring과 SpringBoot의 차이 (0) | 2023.12.26 |
[Spring] MVC 패턴 (0) | 2023.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