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8

[기타]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이란? 아마 IT 직군으로 취업을 준비했었거나 준비중인 분들이라면, 해당 용어에 대해 한번쯤은 들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해당 용어가 어떤 뜻인지 간단히 알아보고자 한다.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 정보기술(IT) 업계의 용어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처리한다는 뜻이다. 정부 측에선 규제 권한을 갖고 있는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한데 모여 문제를 일괄 타결하는 조정 방식으로 불린다. 즉, 사용중인 시스템/소프트웨어에서 무언가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트러블 슛'이라고도 불리며, TV/비디오와 같은 가전과 PC 매뉴얼에는 무언가 이상이 발생했을 때 사용자가 대처할 수 있도록 장애/결함에 대한 대책이 따로 기재된 설명서를 볼.. 2024. 2. 23.
[JavaScript] 콜백(CallBack)함수란? 콜백(CallBack) 함수 콜백함수란 간단히 말해, 어떠한 함수의 파라미터로 들어가는 함수를 말합니다. 이러한 콜백함수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순차적으로 코드를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콜백함수의 기본형태 [참고] https://velog.io/@ko1586/Callback%ED%95%A8%EC%88%98%EB%9E%80-%EB%AD%94%EB%8D%B0 2024. 2. 22.
[JAVA] ArrayList와 LinkedList의 차이 ※ ArrayList와 LinkedList 모두 Java에서 제공하는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Collection 구현체이다. ArrayList란? ArrayList(선형리스트)는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로,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선형리스트입니다. 일반적인 배열과 같이 인덱스로 내부의 객체를 관리한다는 점 등이 유사하지만, 한 번 생성되면 크기가 변하지 않는 배열과는 달리, ArrayList는 객체들이 추가되어 저장 용량(capacity)을 초과한다면 자동으로 부족한 크기만큼 저장 용량(capacity)이 늘어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추가되었을 때 기존 배열이 동적으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배열의 용량보다 더 큰 용량의 배열을 생성하여 내용을 복사하는 작업을 수행하.. 2024. 2. 1.
[SpringBoot] Spring Security 디버깅 하는 방법 아래의 2가지 방법을 통해, 스프링 시큐리티 디버그 모드 활성화 및 디버그 내용을 콘솔에 출력하여 디버깅을 쉽게 진행할 수 있다. 진행했던 개발 환경 - SpringBoot: 3.2.0 - SpringSecurity: 6.2.0 1. @EnableWebSecurity 에 설정 @Configuration @EnableWebSecurity(debug = true) public class SecurityConfig { // Spring Security 관련 Config 코드 ... } 위와 같이 debug 모드를 활성화 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주면, 콘솔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민감한 정보를 담고 있으니, 실제 배포 시스템에서는 활성화하지 말라는 문구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2024. 1. 26.
[SpringBoot] ... is deprecated and marked for removal SpringSecurity관련 config 작성시 에러 2 [SpringBoot] Cannot resolve method 'antMatchers' in 'ExpressionInterceptUrlRegistry' SpringSecurity관련 config 작성시 에러 1 새로 공부삼아 진행해보던 프로젝트에서, 이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참고하여 SpringSecurity관련 config 코드 작성 중에 아래의 코드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다. pa se-black.tistory.com 저번글에 이어서 SpringSecurity관련 config 코드 작성 중에 또 다른 에러가 발생하였다. package com.saeahga.community.config; import com.saeahga.community.han.. 2024. 1. 21.
[SpringBoot] Cannot resolve method 'antMatchers' in 'ExpressionInterceptUrlRegistry' SpringSecurity관련 config 작성시 에러 1 새로 공부삼아 진행해보던 프로젝트에서, 이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참고하여 SpringSecurity관련 config 코드 작성 중에 아래의 코드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다. package com.saeahga.community.config; import com.saeahga.community.handler.LoginFailureHandl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 2024. 1. 19.
[JAVA] 10진수 ↔ 2, 8, 16진수 변환 방법 ※ Integer 클래스의 toBinaryString(), toOctalString(), toHexString() 메서드를 이용하여, 10진수를 2진수, 8진수, 16진수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다. 10진수 ↔ 2, 8, 16진수 int n = 10; String binary = Integer.toBinaryString(n); // 10진수 -> 2진수 String octal = Integer.toOctalString(n); // 10진수 -> 8진수 String hex = Integer.toHexString(n); // 10진수 -> 16진수 System.out.println(binary); // 1010(2진수) System.out.println(octal); // 12(8진수) System.out... 2024. 1. 17.
[JAVA] 자바 리플렉션(Java Reflection)이란? 자바 리플렉션(Java Reflection) 자바 리플렉션은 구체적인 클래스 타입을 알지 못해도 그 클래스의 메소드, 타입, 변수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바 API 입니다. - 런타임 시점에 지금 실행되고 있는 클래스를 가져와서 실행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동적으로 객체를 생성하고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입니다. - 클래스, 인터페이스, 메서드 등을 찾을 수 있고, 객체를 생성하거나 변수를 변경하거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으로 여러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이 리플렉션을 사용한 예시입니다. - Ex) 인텔리제이의 자동 완성 기능,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어노테이션 등등 2024. 1. 12.
[ORACLE] ROWNUM 함수 사용법 ROWNUM ROWNUM이라는 시스템 함수를 사용하면, 쿼리 실행 결과의 라인별 순번을 가져올 수 있다. 쿼리 실행 결과에 순번 매기기 SELECT ROWNUM, A.* FROM TEST A; [실행 결과] ORDER BY를 함께 사용하여 순번 매기기 ROWNUM과 ORDER BY를 함께 사용하면 순번이 뒤섞이기에(순번을 먼저 매긴 후 ORDER BY를 진행하기에), 정렬된 서브쿼리 결과에 ROWNUM을 사용해야 한다. ※ 순번 뒤섞이는 예제 SELECT ROWNUM, A.* FROM TEST A ORDER BY A.GRADE; [실행 결과] ※ 서브쿼리를 사용하여 순번 매기기 예제 SELECT ROWNUM, A.* FROM (SELECT * FROM TEST ORDER BY GRADE) A; [실행 결과] 2024. 1. 11.
[ORACLE] TRUNC 함수 이용한 숫자 절사 숫자 절사 SELECT TRUNC(123456.789) AS CASE1, TRUNC(123456.789, 0) AS CASE2, -- TRUNC(123456.789)와 동일한 결과 TRUNC(123456.789, 1) AS CASE3, --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출력 TRUNC(123456.789, 2) AS CASE4, --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출력 TRUNC(123456.789, -1) AS CASE5, -- 소수점 위 1의 자리까지 출력(단, 해당 자리는 0으로) TRUNC(123456.789, -2) AS CASE6 -- 소수점 위 10의 자리까지 출력(단, 해당 자리는 0으로) FROM DUAL; [실행 결과] 2024. 1. 10.
반응형